본문 바로가기
건설기계기술사

(헐카롱) [건설기계기술사] 3. 건설기계의 시공능력

by 헐카롱 2021. 5. 19.
728x90
반응형

3. 건설기계의 시공능력

문제) 건설기계의 시공 능력

답)

I. 건설기계의 시공능력 산정 기본식

1. 기계의 작업시간

1) 기계의 시간당 작업량은 기계의 운전시간당 작업량을 의미함.

2) 운전시간

a) 기계의 주 기관이 회전하거나 주 작동부가 가동하는 시간.

b) 실 작업시간 외에 작업 중의 기계이동, 기관 또는 주 작동부의 예비 가동, 운전 시간 중의 점검, 조정, 주유, 조합 기계 사용 시 대기시간 포함.

2. 시간당 작업량 (Q)

1) 토공에 있어서 작업 능력은 일반적으로 m3/h 로 표시

2) 자연상태의 토량, 흐트러진 상태의 토량, 다져진 상태의 토량의 세가지 표시 방법이 있음.

3. 시간당 작업 사이클 수 (N)

1)

2) 1회 사이클 시간 (Cm): 기계의 작업 속도나 주행 속도에 따라분 (min) 또는 초 (sec) 로 표시.

4. 1회 작업 사이클 당 표준 작업량 (q)

1) 1회 사이클의 동작으로 이루어지는 표준적인 작업조건과 작업관리 상태에 있어서의 작업량.

2) 토량인 경우에는 흐트러진 상태에서 취급되는 것이 일반적임.

5. 체적환산계수 (f)

여기서, 토량변화율 L = 1.1 ~ 1.2, C= 0.9

* 토량변화율

- L: 자연상태의 토량을 덤프트럭에 담을 때 (Loose)

- C: 자연상태의 토량을 다질 때 (Compact)

6. 작업 효율 (E) = 현장 작업 능력계수 (E1) x 실 작업시간율 (E2)

1) 표준적인 작업능력에 작업현장의 여러가지 알맞은 효울을 고려함.

2) 능력적인 요소와 시간적인 요소로 구분함.

3) 현장 작업 능력계수 (E1): 기계의 표준적인 작업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 지형, 토질, 공사규모, 시공 방법, 기계의 종류, 기계 조정원의 숙련도 등의 작업 현장 여건을 고려한 계수.

4) 실작업 시간율 (E2) = 실 작업시간 / 운전시간

- 기계의 상태, 공사 규모, 시공 방법 등에 따라 변화됨.

II. 건설기계 장비별 작업 능력

1. 불도저

1) 시간당 작업량 Q (m3/h)

2) 1회 사이클 시간, Cm (분)

2. 굴삭기 (무한궤도), 셔블계 굴삭기

* 셔블계 굴삭기: 파워 셔블, 백호, 드래그 라인, 클램쉘

1) 시간당 작업량 Q (m3/h)

2) 1회 사이클 시간, Cm (초)

- 굴삭기의 규격 및 선회각도에 따라 조정.

3. 덤프트럭

1) 시간당 작업량 Q (m3/h)

2) 1회 사이클 시간, Cm (분)

a) Cm = t1 + t2 + t3 + t4 + t5

여기서, t1: 적재시간, t2: 왕복시간

(t2 = 편도 운반거리 / 적재시 평균 주행속도 + 편도 운반거리 / 공차시 평균 주행속도)

t3: 적하 시간, t4: 적재 대기 시간

t5: 적재함 덮개 설치 및 해체 시간 (인력: 3.77분, 자동 덮개 시설: 0.5분)

b) 적재 기계 사용 시

끝.

728x90
반응형

댓글